|   | 
										시장보고서
									 
											
												상품코드
											
										 
											1604919
										 <2025> 리튬이온 2차전지 전해액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2035)<2025> LIB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Technology Trends and Market Outlook (~2035) | ||||||
최근 전 세계는 에너지 전환의 흐름에 진입하며 전기차(EV)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중심으로 이차전지 시장도 재편되고 있습니다. 중국 이차전지 업체인 CATL, BYD, CALB 등이 중국 정부의 지원과 거대한 내수 시장을 발판으로 글로벌 M/S를 더욱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한국과 일본 등 중국 외 업체들의 움직임도 매우 활발합니다.
이러한 격변의 시대 속에서 미국의 47대 대통령으로서 도널드 트럼프가 확정된 현재, 향후 산업 정책과 규제 환경의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을 넘어 전 세계 전기차 및 이차전지 시장에도 중대한 변동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은 글로벌 산업 정책과 무역 환경에 큰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America First' 기조에 따라 자국 내 제조업 부흥과 기술 패권 강화를 목표로 하는 정책들이 시행될 경우, 이차전지 전해액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선,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을 축소하거나 폐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차 시장 성장을 억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 업체들에게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자국 내 생산을 강요하는 '온쇼어링(Onshoring)' 정책을 강화함으로써, 미국 내 제조업 부흥을 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전기차 및 이차전지 제조사들은 공급망의 현지화를 요구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전해액 제조업체들에게도 미국 내 생산 거점을 마련하거나 현지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할 것을 강하게 요구할 것입니다. 이러한 온쇼어링 기조는 글로벌 전해액 시장에서 기존의 경쟁 구도를 흔들고, 특히 중국과의 무역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 업체들은 이미 리튬염(LiPF6)과 같은 주요 원료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미국의 관세 및 규제 강화는 이들의 시장 확대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의 전해액 제조업체들에게는 기술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할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동화일렉트로라이트, 솔브레인, 엔켐은 이미 주요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활용해 미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거나 생산을 현지화할 가능성을 타진해야 합니다.
첨가제(Additives) 시장에서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SEI 보호막 형성, 과충전 방지, 전도특성 향상 등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성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첨가제는 한국의 천보, 켐트로스 등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점유율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자국 내 생산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첨가제 제조업체 역시 현지화를 포함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동시에, 주요 시장인 중국과 유럽에서도 전해액 제조업체들은 현지화 전략과 기술 고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일본, 그리고 신흥국의 전해액 제조업체들은 품질 경쟁력과 친환경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 중심에서 전고체 배터리와 같은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전해액의 기술적 요구사항도 변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전해액 기업 간 협력과 M&A가 활발히 진행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글로벌 전해액 시장은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전해액 업체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첫째, 미국의 온쇼어링 기조에 부응하기 위해 현지 생산시설 설립이나 합작 투자 등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을 추진해야 합니다. 둘째, 고부가가치 리튬염 및 첨가제 개발을 통해 기술적 차별화를 강화하고, 품질을 통해 미국 및 유럽 시장의 신뢰를 확보해야 합니다. 동시에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의 전환을 대비해야 합니다. 셋째, 원가 경쟁력과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글로벌 원료 소싱 다각화 및 생산 공정 최적화에 주력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혼란스러운 시장의 변화는 단기적으로는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지만, 적절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 운영한다면 전해액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이러한 변화를 앞두고 있는 현재, 당사는 본 리포트를 통해 향후 전해액에 대한 수요 및 시장을 전망하여 독자들이 전체적인 규모를 파악하고 변화할 전해액 시장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전해액 완제품 및 각 구성재료에 대한 기술적 정보를 상세하게 정리하였으며, 차세대 배터리에 적용될 고체전해질에 대한 정보도 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의 전해액 수요 및 각 전해액 업체들의 공급 현황과 전망을 정리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자 및 관심있는 이들에게 기술부터 시장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Recently, the world has entered the trend of energy transition, leading to the restructuring of the secondary battery market, with a focus on electric vehicles (EVs) and energy storage systems (ESS). Chinese secondary battery companies such as CATL, BYD, and CALB are expanding their global market share (M/S) with the support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a massive domestic market. Meanwhile, companies outside of China, such as those from South Korea and Japan, are actively making moves to counter China's dominance.
In this era of upheaval, with Donald Trump confirmed as the 47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changes in industrial policies and regulatory environments are anticipated. This is expected to lead to significant shifts not only in the U.S. but also in the global electric vehicle and secondary battery markets.
The inauguration of the Donald Trump administration raises the possibility of significant changes in global industrial policies and the trade environment. In particular, if policies aimed at revitalizing domestic manufacturing and strengthening technological supremacy are implemented under the "America First" agenda,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industry could also be affected.
First, the Trump administration is showing signs of reducing or eliminating existing electric vehicle subsidy policies, raising concerns that this could hinder the growth of the electric vehicle market. Additionally, by imposing high tariffs on foreign companies and reinforcing the "onshoring" policy, which mandates domestic production, the Trump administration aims to revitalize U.S. manufacturing.
As a result, U.S.-based electric vehicle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rs are likely to face increasing demands for supply chain localization. This will strongly urge electrolyte manufacturers to establish production bases in the U.S. or strengthen partnerships with local partners. This onshoring trend is likely to disrupt the existing competitive landscape in the global electrolyte market, significantly impacting trade relations with China.
Chinese companies have already established a dominant position in key raw material markets, such as lithium salt (LiPF6). Therefore, the U.S.'s tariff and regulatory tightening could hinder their market expansion. On the other hand, this shift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n and Japanese electrolyte manufacturers to strengthen their presence in the U.S. market by leveraging their technological and quality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South Korea's Dongwha Electrolyte, Solbrain, and Enchem are already playing significant roles in the global supply chain through partnerships with major electric vehicle battery manufacturers. They should explore the possibility of directly entering the U.S. market or localizing production by leveraging these relationships.
Changes are also expected in the additives market. Additives, which play a crucial role in the performance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such as forming SEI protective films, preventing overcharging, and improving conductivity-are seeing South Korea's Chunbochem and Chemtros expanding their market share based on their technological expertise. As the U.S. strengthens its demands for domestic production, additives manufacturers will also need to implement strategic responses, including localization of production.
At the same time, in key markets like China and Europe, electrolyte manufacturers are also showing efforts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through localization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is situation, electrolyte manufacturers from South Korea, Japan, and emerging countries are making efforts to expand their presence in the global market by focusing on quality competitivenes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ies.
Furthermore, as the transition from lithium-ion batteries to next-generation battery technologies, such as solid-state batteries, accelerates, the technical requirements for electrolytes are expected to change. This could lead to increased collaboration and M&A activities among electrolyte companies.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the global electrolyte market is facing both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face of these changes, electrolyte companies are required to adopt the following strategic responses. First, to align with the U.S.'s onshoring trend, they should actively pursue localization strategies such as establishing local production facilities or forming joint ventures. Second, electrolyte companies should strengthen technological differentiation by developing high-value-added lithium salts and additives, securing trust in the U.S. and European markets through quality. At the same time, they must prepare for the transition to next-generation battery technologies, such as solid-state batteries. Third, to ensure cost competitiveness and a stable supply chain, electrolyte companies should focus on diversifying global raw material sourcing and optimizing production processes.
While the turbulent market changes may cause challenges in the short term, electrolyte companies can strengthen their position in the global market and create new opportunities by implementing appropriate response strategies.
In light of these upcoming changes, this report aims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overall size of the electrolyte market and gain insight into the evolving market by forecasting the future demand and market trends for electrolytes. Additionally, we have compiled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on electrolyte finished products and their components for application in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as well as information on solid electrolytes for use in next-generation batteries.
Finally, by summarizing the electrolyte demand of key battery manufacturers and the supply status and outlook of various electrolyte companies, this report aims to provide researchers and interested parties with a broad range of insights, from technology to the market.

 
	 
		 
		